케인즈 경제학
존 메이너드 케인즈는 경제학의 중요한 이론가였습니다. 케인즈 경제학은 존 메이너드 케인즈, 특히 현대 거시경제학을 다른 분야로 도입한 그의 저서 고용이자 화폐의 일반이론(1936년)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책은 물가가 상대적으로 유연하지 않은 단기적으로 국민소득 결정요인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케인즈는 왜 노동시장의 높은 실업률이 낮은 효과적인 수요 때문에 자가 수정하지 못할 수 있고 왜 가격 유연성과 금융정책조차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는지를 이론적으로 광범위하게 설명하고자 했습니다. 혁명적이라는 용어는 경제 분석에 영향을 미치는 도서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그 후 수십년 동안 많은 경제학자들이 케인즈의 생각에 따라 그의 역작을 확대했습니다. 존 힉스와 앨빈 한센은 IS-LM 모델을 개발하였는데 이는 경제의 단기 균형에 관한 케인즈의 통찰 몇 가지를 단순하게 공식화한 것이었습니다. 프랑코 모딜리아니와 제임스 토빈은 각각 민간소비와 투자에 관한 중요한 이론을 발전시켰으며 이는 총수요의 두 가지 주요 요소입니다. 로렌스 클라인은 최초의 대규모 거시경제 모델을 구축하고 케인즈주의적 사고를 미국 경제에 체계적으로 적용했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경제학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케인즈주의는 미합중국의 건국과 그 동맹국의 지배적인 경제관이었고, 마르크스 경제학은 소련의 노멘클라투라와 그 동맹국의 지배적인 경제관념이었습니다.
모네랄리즘
모네랄리즘은 1950년대부터 1960년대에 등장하였고, 주도한 지도자는 밀턴 프리드먼이었습니다. 통화정책과 기타 금융위기는 금융주 성장으로 대표되듯 경제변동의 중요한 원인이며 결과적으로 안정화를 위한 재정정책보다 통화정책이 중요하다고 주장하였습니다. 프리드먼은 중앙은행이 실제로 현명한 적극적인 금융정책을 실행하는 능력에 회의적이며 대신 안정적인 통화성 장률과 같은 단순한 규칙을 사용할 것을 주장하였습니다.
1970년대와 1980년대 통화주의가 대두되면서 몇몇 주요 중앙은행이 통화주의적 정책을 따랐지만 결과가 미흡한 것으로 판명되자 나중에 다시 포기하게 되었습니다.
신고전주의 경제학
현재의 케인즈적 패러다임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도전은 1970년대에 로버트 루카스, 토마스 사전트, 에드워드 프레스콧과 같은 새로운 고전적 경제학자들에 의해 제기되었습니다. 그들은 경제학에서 합리적인 기대 개념을 도입했는데, 이는 많은 경제 논의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그 안에는 이른바 루카스 비판과 실제 비즈니스 사이클 모델 제시가 담겨 있었습니다.
뉴케인즈 경제학
1980년대에는 조지 아켈로프, 재닛 옐런, 그레고리 맨큐,올리비에 블랜처드 등 뉴케인즈주의 경제학자로 불리는 연구자 그룹이 나타났습니다. 이들은 합리적인 기대의 원칙과 미시적 기초를 이용한 모델 구축과 행동 최적화 같은 다른 통화주의와 새로운 고전적 사고방식을 채택했지만 케인즈와 마찬가지로 경제 기능을 위한 다양한 시장 실패가 중요함을 동시에 강조하였습니다. 특히 이들은 가격과 임금 경직성의 경험적으로 관찰된 특징을 설명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이유를 제안했는데, 이는 보통 오래된 케인즈 양식처럼 단순히 가정하는 것이 아니라 모델의 내생적 특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신고전주의 합성
케인즈주의자,화폐학자,신고전주의자,신케인즈주의자 사이에 종종 열띤 논의가 수십 년간 이어진 뒤 2000년대에 이르러 새로운 신고전주의자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그것은 새로운 고전이론의 합리적인 기대와 최적화 프레임워크를 명목상의 경직성이나 상품, 노동, 신용시장에서의 불완전한 정보와 같은 기타 시장의 불완전성에 대한 새로운 케인즈의 역할과 통합했습니다. 경제 안정화, 특히 인플레이션 억제에 있어서 통화적책의 중요성은 재정정책도 총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을 가진다는 전통적인 케인즈주의자들의 주장과 마찬가지로 인식되었습니다. 방법론적으로 이 합성은 동적 확률적 일반 균형 모델 또는 DSGE 모델로 알려진 새로운 클래스의 적용 모델로 이어졌지만, 몇 가지 새로운 케인즈학적 및 기타 특징으로 확장되었습니다. 이러한 모델은 현대의 통화정책 설계에 있어 매우 유용하고 영향력 있으며, 현재는 대부분의 중앙은행에 표준적인 작업모델이 되고 있습니다.
금융 위기 후 거시경제
2007년~2008년 금융위기 이후 거시경제 연구는 금융시스템을 이해하고 일반경제 모델에 통합하는 데 중점을 두고 금융섹터의 문제가 대규모 거시경제 불황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밝히고 있습니다. 이 연구부문이나 다른 연구부문에서는 행동경제학에서 영감이 주류 경제이론에서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하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또한 경제 주체 간의 이질성이 있을것이고 수입의 차이는 최근 경제 연구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경제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Economics) 미시경제학 (0) | 2024.05.11 |
---|---|
경제학(Economics) 경제 사상의 유파 (0) | 2024.05.10 |
경제학(Economics) 경제 사상의 역사 (0) | 2024.05.08 |
경제학(Economics)의 경제 사상가 (0) | 2024.05.07 |
경제학(Economics) 이란? (0) | 2024.05.06 |